소개
박동훈(이선균)은 40대 중반의 건축구조기술사로, 묵묵히 책임을 다하며 살아가는 평범한 직장인이다.
겉으로는 안정된 삶을 살고 있지만, 회사 안팎의 정치, 가족의 무게, 아내와의 거리감 등으로 인해
마음속에는 깊은 외로움과 피로가 쌓여 있다.
반면 이지안(아이유)은 20대 중반의 계약직 직원으로,
어린 시절부터 가난과 외로움 속에서 살아온 인물이다.
말수 적고 감정을 드러내지 않으며, 세상을 냉소적으로 바라본다.
몸이 불편한 할머니를 부양하며 하루하루 버티듯 살아가던 지안은,
회사 상사인 동훈의 약점을 잡아 회사 상층부와 거래를 시도하면서 그와 얽히게 된다.
하지만 서로를 조금씩 알게 되면서, 두 사람 사이에는 미묘한 변화가 시작된다.
동훈은 지안의 삶 속에 감춰진 상처를,
지안은 동훈의 조용한 인간성을 마주하며 각자의 상처를 들여다보게 된다.
이 드라마는 단순한 멜로가 아니라,
세상에 지친 두 사람이 서로의 삶을 이해하고 위로하며 회복해가는 이야기다.
가족, 친구, 직장, 인간관계 등 다양한 삶의 층위를 통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시청자에게 큰 울림을 준다.
감상평
<나의 아저씨>는 쉽게 설명할 수 없는 드라마다.
줄거리만 들으면 다소 어두운 이야기처럼 보인다.
삶에 지친 중년 남자와 삶에 지쳐버린 젊은 여자의 만남.
하지만 드라마가 끝날 즈음엔, 그것이 단순한 ‘서사’가 아니라, ‘위로’였음을 알게 된다.
주인공 박동훈(이선균)은 착하고 성실하지만 세상에 지친 중년 남자다.
가족을 책임지고, 회사에서 치이고, 형제들마저 각자의 짐을 안고 살아가는 현실에서
그는 늘 자신을 뒤로 미루며 살아간다.
반면, 이지안(아이유)은 삶에 대한 기대를 잃은 청춘이다.
어린 시절부터 이어진 상처, 가난, 외로움은 그녀를 무감각하게 만들었고,
어느 누구와도 쉽게 마음을 나누지 못한다.
처음엔 이 둘의 만남이 낯설었다.
20살 넘게 나이 차이가 나는 두 사람이 주고받는 감정은 사랑이라기보다, ‘공감’과 ‘이해’에 가까웠다.
드라마는 그 관계를 결코 로맨틱하게 소비하지 않는다.
오히려 두 사람의 거리, 어색함, 조심스러움 속에서 진짜 인간적인 감정을 그려낸다.
그 점이 이 드라마를 더 특별하게 만든다.
나는, 동훈과 지안 사이 어딘가에 서 있는 느낌이었다.
누군가에게 기대고 싶은 순간과 누군가를 지켜줘야 할 책임감 사이에서 흔들리는 시기.
그래서 동훈의 눈물은 나의 눈물이었고, 지안의 침묵은 나의 외면이기도 했다.
《나의 아저씨》는 말로 위로하지 않는다. 대신, 함께 버텨주는 방식으로 사람을 안아준다. “너는 괜찮은 사람이다”라는 그 짧은 한 마디가 몇 회차에 걸쳐 쌓여 나올 때, 나는 눈물을 멈출 수 없었다. 사람은 그렇게, 누군가에게 괜찮은 사람이라고 인정받는 것만으로도 다시 살아갈 힘을 얻는 존재라는 걸 느꼈다.
무엇보다 이 드라마는 ‘연대’의 의미를 잊지 않는다.
박동훈의 형제들, 그의 친구들, 회사 동료들, 그리고 지안과 할머니의 관계까지.
그들은 모두 상처받고 어설프지만, 각자의 방식으로 서로를 지탱한다.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아도 진심은 통할 수 있다는 걸, 이 드라마는 조용히 증명한다.
또한, 이 작품은 현실을 직시하면서도 그 안에서 아름다움을 찾는다.
그저 고요하게 앉아 있는 술집 장면, 어둠 속에서 나누는 짧은 대화, 무표정으로 건네는 사소한 도움.
이런 장면들이 쌓여, 차가운 세상 속에서도 사람 사이의 온기를 보여준다.
누군가는 이 드라마를 ‘우울하다’고 말할지도 모른다.
그래서이 드라마를 보는 것을 조금 미뤄 왔었다.
하지만 나는 이보다 더 따뜻한 드라마는 없었다고 말하고 싶다.
<나의 아저씨>는 인생이란 버거운 무게를 짊어진 모두에게 “우리 같이 버텨보자”는 손을 내미는 작품이었다.
삶은 가끔 너무 무겁고, 우리는 자주 외롭다.
그런 순간에 <나의 아저씨>는 어깨에 조용히 손을 얹는다.
아무 말 없이, 그냥 함께 있어주는 방식으로.
그 어떤 화려한 전개도, 큰 사건도 없지만, 나는 이 드라마를 오래도록 기억할 것이다.
왜냐하면 이건 단순히 한 편의 드라마가 아니라, 삶의 어느 지점에서 만난, 나를 닮은 이야기이기 때문이다.